728x90
반응형
웹 브라우저
웹 브라우저는 췝페이지를 서버에 요청(request)하여 서버의 응답(response)을 웹 문서의 형태로 받음
받은 웹 문서(HTML,css)를 렌더링
서버와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응답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는 대표적으로 웹서비스가 있음
클라이언트는 일종의 고객(클라이언트)
서버로 요청(음식주세요)을 보낸 뒤에 응답(음식갑니다)이 도착할때까지 기다린다.
로그인 요청 -> 로그인 성공응답 -> 로그인 완료 화면 출력
서버는 받은 요청을 처리해 응답을 전송(웹서버)
로그인 요청 -> 회원정보 조회 -> 로그인 결과 응답
HTML
웹문서 작성용 마크업언어
마크업은 웹 문서가 모니터 화면에 보이는 형태를 결정하는 구조
HTTP
하이퍼텍스트를 전송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토콜
간편하게 데이터 전송해줌
URL(특정한 정보 자원의 종류와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입력한 뒤 접속 시도
웹
HTTP프로토콜을 이용해 수업이 많은 페이지로 링크타고 이동
거미줄과 같은 형태
웹구조
UI: 브라우저 화면
브라우저엔진: 쿠키와 같은 로컬데이터를 저장소에 저장
렌더엔진: {
받은 응답을 화면에 표현(HTML,CSS코드 처리)
(네트워킹:웹서버와 통신진행,
js엔진: js코드 파싱/실행,
ui백엔드: 사이트ui 구동 역할
}
웹브라우저 동작 방식
웹클라이언트는 웹브라우저 이용
웹브라우저에 주소를 입력 -> GET방식으로 서버에 문서 요청
찾아서 응답
화면에 표시
반응형
'WebDev > CS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간단 요약 정리 (0) | 2023.10.06 |
---|---|
HTML, CSS의 정의 (2) | 2023.10.05 |
쿠키, 세션 로그인 방식의 -세션 저장소- (0) | 2023.09.27 |
RESTAPI (0) | 2023.07.12 |
HTTP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