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Dev/CS & 자료구조

쿠키, 세션 로그인 방식의 -세션 저장소-

by S.AHA_dev 2023. 9. 27.
728x90
반응형

세션 저장소

세션이 실제로 어디에 저장되느냐는 구현 방법과 환경 설정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메모리

기본적으로 많은 앱들은 메모리에 세션을 저장

이 방법은 서버가 재시작되면 모든 세션이 사라진다는 단점

 

데이터베이스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세션을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

방법은 메모리보다 안정적이지만, 읽기/쓰기 속도가 느릴 수 있음

 

외부 세션 관리 시스템 

Redis나 Memcached와 같은 외부 세션 관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음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재시작해도 데이터가 유지

 

세션 기반의 인증 시스템은 상태를 유지하고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

서버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고 확장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

 

이러한 이유 때문에 요즘은 토큰 기반의 인증 방식(JWT 등)을 많이 사용

반응형

'WebDev > CS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간단 요약 정리  (0) 2023.10.06
HTML, CSS의 정의  (2) 2023.10.05
RESTAPI  (0) 2023.07.12
HTTP  (0) 2023.07.11
웹 브라우저 동작 방식  (0) 2023.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