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WebIssue3

새로운 JS키워드 using 새로운 이슈가 떠서 정리해놓으려고 적는 자바스크립트 이슈! 자바스크립트의 변수 키워드는 var, let, const 3가지로 ES6이전에는 var만 썼었지만 ES6가 나온 이후 let과 const를 쓰게 된다. 거기에 using이라는 키워드가 추가될 것이라고 하는데 이 키워드도 변수를 초기화 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라고 한다. 그리고 이 키워드는 프로그램에서 리소스를 관리하는데 유용하다고 한다. let이나 const가 아닌 using은 변수가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지 않는다면 폐기. 해당 변수가 폐기 될 때 실행할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아직은 자바스크립트의 일부가 아니며, 4단계 중 3단계까지 완료가 되어 있고 써보고 싶다면, 타입스크립트 5.2버전에서 사용 할 수 있다고 한다. 2023. 10. 12.
AI주도 개발 AI 주도 개발 AI가 개발자의 일자리를 빼앗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로서는 이 질문에 명확한 답변이 없지만,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2022년부터는 AI 기반 개발이 현실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의 저도 구글과 GPT를 많이 활용하니까요!(쌩 신입 취준생ㅠㅠ 빠르게 배울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GitHub Copilot은 그 예시 중 하나로, AI 프로그래머와 개발자가 함께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GitHub Copilot은 선택한 IDE에서 코드 작성 또는 코딩 내용 설명과 같은 코멘트 작성과 같이, 간단한 입력만으로도 자동으로 구현 세부사항을 이해하고 완성해줍니다. 그러나 AI의 역할은 여기서 멈추지 않습니다. OpenAI의 ChatGPT는 프로그래밍 작업까지 처리할 수 있는.. 2023. 10. 9.
타입스크립트를 안쓴다? 노드와 파이썬도? 최근 IT 이슈: 프레임워크 / 라이브러리의 타입스크립트 제거, Bun 1.0 공식 출시, 모조언어 등장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에서 타입스크립트 제거 현재 IT 업계에서는 타입스크립트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벨트 터보 드리즐 등 몇몇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에서 타입스크립트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타입스크립트 제거 이유: 코드의 복잡성 / 명시적 컴파일 단계가 필요 / 타입을 사용함으로써 코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 이런 움직임에 대한 반발도 상당히 심한 편입니다. 또한, ECMAScript(자바스크립트 표준 문법)에서도 곧 타입 어노테이션을 공식적으로 추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노드JS 대체? Bun 1.0 공식 출시: 빠른 JS 런타임 환경 Bun 1... 2023. 10.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