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un1 타입스크립트를 안쓴다? 노드와 파이썬도? 최근 IT 이슈: 프레임워크 / 라이브러리의 타입스크립트 제거, Bun 1.0 공식 출시, 모조언어 등장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에서 타입스크립트 제거 현재 IT 업계에서는 타입스크립트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벨트 터보 드리즐 등 몇몇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에서 타입스크립트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타입스크립트 제거 이유: 코드의 복잡성 / 명시적 컴파일 단계가 필요 / 타입을 사용함으로써 코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 이런 움직임에 대한 반발도 상당히 심한 편입니다. 또한, ECMAScript(자바스크립트 표준 문법)에서도 곧 타입 어노테이션을 공식적으로 추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노드JS 대체? Bun 1.0 공식 출시: 빠른 JS 런타임 환경 Bun 1... 2023. 10. 8. 이전 1 다음 반응형